[1120]Buy-in 종합
- 화면개요 및 설명
- FAQ

-
탭을 이용하여 “일중추이/일별추이/Buy-in 도움말 “로 손쉽게 이동하여 해당 종목의 시장 데이터
및 도움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-
탭을 이용하여 “예수금/체결/미체결/잔고”로 손쉽게 이동하여 예수금 등 계좌정보를 확인하실 수
있습니다. -
탭을 이용하여 “현재가/Buy-in발생종목/뉴스”로 손쉽게 이동하여 원하시는 시장정보를 확인하실 수
있습니다. -
탭을 이용하여 “매도/정정/취소”로 손쉽게 이동하여 주문할 수 있습니다.
-
Buy-in(매입인도)제도가 무엇인가요?
증권미결제 상태를 조기에 해소하고 증권결제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2일 이상 증권미납부(fail)가 발생하거나, 기준일 종목의 증권미납부(fail)가 예상되는 경우 거래소가 정규시장 종료 후, Buy-In세션을 개설하고, 증권미납부 회원 명의로 매입하여 미수령회원에게 인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
일반 Buy-in과 당일 Buy-in은 어떻게 다른가요?
-
일반 Buy-in 정의
결제일에 회원사간의 결제불이행을 막고자 도입되었습니다.
결제일에 매도한 증권사는 주 식이 출고되어 매도대금이 입금되며 매수한 증권사는 주식이 입고되고 매수대금이 출금됩니다. 이때, 증권사쪽 에 주식이 없어 출고가 안되는 경우 결제 불이행이 일어나게 됩니다. 따라서 미납증권을 익일로 이연하는 결제 이연제도가 도입되면서 제도적으로 익일로 이연되고 익일 16시까지 증권을 납부하지 못하게 될 경우 해당증권 사에 통보 후 자동매수처리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-
당일 Buy-in 정의
기준일 종목의 당일결제를 위하여 도입되었습니다. 의결권 등 주주권리를 행사할 주주를 확 정하기 위한 기준일이 되는 날,
감자 등 주권변경을 위한 구주권 제출마감일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종목에 대하 여는 결제 이연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당일에 Buy-in제도를 실행하는것을 의미합니다.
-
일반 Buy-in 정의
-
대상 유가증권은 어떻게 되나요?
주권, ETF, ELW, 수익증권, 신주인구권증권/서 입니다.
-
대상종목, 매매시간, 매도호가, 매매체결방법, 결제시간은 어떻게 되나요?